정보구조
브랜디는 총 5개의 하단 내비게이션 탭 바(1 depth)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탭 내에서 2 depth 이하는 상단 탭에 위치한다.
1차 카테고리 하위에 2차 카테고리까지 이중 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터가 존재한다. 상단 탭은 동일 주제로 이루어져 있어 탭 간 이동 시 스와이프가 가능하다. 여기에 헤더(로고)까지 포함하면 바디 영역을 절반(4 row)가까이 차지하게 된다. 그래서 브랜디는 콘텐츠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스크롤 다운 시 헤더와 2차 카테고리 영역이 폴딩된다.
(참고) 지그재그와 에이블리의 필터, 바디 영역
지그재그는 헤더, 카테고리와 필터를 폴딩하지 않는 대신 썸네일 사이즈를 줄여 1row에 3개의 콘텐츠를 노출시킨다. ( 헤더 고정형) 에이블리는 메인화면에서는 헤더를, depth 화면에서는 필터를 폴딩하였다. (혼합형)
목적 달성
1) 정보 탐색
- 카테고리
무신사 서비스 분석 당시 브랜디의 카테고리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었다.
한편 브랜디는 비교적 소호몰과 마켓의 비중이 비슷해 소호몰과 마켓-브랜드의 구도로 카테고라이징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서비스 기획자의 삽질하는 공간 | 02. 무신사 서비스 분석
지그재그, 에이블리와 비교했을 때 차이점이 확연히 나타난다. 쇼핑 모음앱이라는 컨셉으로 보면 지그재그나 에이블리처럼 상품군으로 카테고라이징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브랜디가 쇼핑몰과 브랜드를 의도적으로 구분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는 전체적으로 브랜디 앱을 살펴보면서 느낀 점이기도 하다.) 지그재그도 현재는 상품군으로 카테고라이징 하였으나 올 초부터 신발과 가방 부문에서 백화점, 해외 브랜드를 입점시킬 예정이라고 하니 카테고리를 어떻게 다시 구성할지 주목할 만하다.
- 검색어 입력하기
검색어는 최초 자음 한 글자만 입력해도 자동완성 추천 키워드를 제공한다. 검색 엔진에서나 볼 수 있는 마이크로한 인터렉션이다. 보통 쇼핑 앱은 검색 조건으로 최소 자음과 모음 두 글자를 요구한다. 여기서 더 나아간다면 자음 초성 입력이 있는데 초성 검색을 지원하지는 않았다.
검색 결과 역시 카테고리와 동일하게 판매 주체를 기준으로 탭을 구분한다. 검색어가 스토어명에 해당할 경우 상단에 스토어 검색결과를 추가로 노출한다. 검색 결과에 별도의 필터는 없지만 하루배송 상품은 필터링할 수 있다.
(참고) 지그재그와 에이블리의 검색결과
타사는 상품과 쇼핑몰 검색 결과를 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상품의 경우 검색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2) 정보 습득
- 하루배송
하루배송은 브랜디의 대표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다. 브랜디 내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하루배송 상품은 별도의 탭에 노출되고 있다. 쿠팡으로 치면 로켓배송 전용 탭이 있는 셈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검색 결과에서 하루배송 필터링이 가능하고 상품명 옆에 하루배송 태그로 일반 상품과 구별된다. 이 때 모든 옵션이 하루배송 대상이 아닐 수 있다. 그래서 옵션 선택 시에도 하루배송 옵션만 필터링 할 수 있다.
다만 허점이 있다면 필터링 결과는 상품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하루배송 가능 옵션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하루배송이 가능한 상품은 리스트에 보여지는 것보다 더 적다고 볼 수 있다.
- 특가
브랜디에서 제공하는 특가는 타임특가와 브랜디특가로 나누어진다.
타임특가는 48시간 동안 한정된 수량을 할인 판매하는 할인전으로 다시 브랜드 타임특가와 상품 타임특가로 나뉜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타임특가 상품의 노출 부족이다. 특가 탭 내에서 브랜드 배너 제외 타임특가 상품은 최대 6개 밖에 노출되지 않는데 실제 '타임특가'로 검색 시 더 많은 검색결과(334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이 검색결과가 모두 타임특가 상품인지도 불분명하다. 가령 아래 이미지에 붉은색으로 표시한 상품이 그렇다.
아마 이 상품은 타임특가 상품이 아니고 스토어'타임'과 신년맞이'특가' 키워드에서 검색이 잡힌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검색으로는 타임특가 상품을 필터링하기 어렵고 특가 탭에서는 타임특가 상품 노출이 부족한 상태이다.
시간과 수량의 제한을 둔 판매 형태라는 점에서 유사한 카카오톡 톡딜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카카오톡 쇼핑하기는 톡딜 탭에서 마감임박/신규오픈/전체톡딜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난 7월에 카카오커머스를 분석한 이래로 업데이트 된 것 같은데 톡딜 내 기획전인 브랜드 기획전과 만원장터가 새로 생겼다.
[왜 그랬을까?] 타임특가(톡딜)를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 브랜디는 특가를 일종의 기획전으로 본다. 기획전 탭을 보면 브랜드 단위의 타임특가가 기획전에 속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카카오톡 톡딜은 상품 단위의 딜이 메인이다. (브랜드 기획전과 만원장터와 같은 톡딜 내 기획전이 생기기는 했지만) 그리고 브랜드(스토어) 단위로 묶지 않고 상품 단위로 노출할 수 있는 이유는 톡딜 상품 설정을 최대 10개까지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랜디특가는 브랜디 단독 할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동일 쇼핑몰의 동일 상품을 지그재그에서 비교한 후 추측할 수 있었다.
다만 모든 상품을 다 비교해본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 상품마다 다른 할인전이 중복으로 적용된다면 브랜디특가가 최저가임을 보장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브랜디특가의 기획의도가 단독 최저가일 것이라고 예상할 뿐이다.
그리고 브랜디특가 역시 검색으로 브랜디특가 상품을 필터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타임특가와 현상이 비슷하다. 특가 탭 내에서 74개의 상품이 노출되는데 '브랜디특가'로 검색 시 180건의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브랜디특가를 확장하자면 코디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결합 상품(B마트의 봉다리 같은)이나 자체 제작 상품으로도 확장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브랜디는 하루배송으로 자체 풀필먼트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PB 상품의 유통 마진을 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3) 전환
- 주문서
주문서 작성 시 상품마다 적용 가능한 쿠폰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품 정보에 해당하는 판매가에 할인금액이 곧바로 적용된다. 그래서 처음에는 소비자가와 판매가를 기재한 줄 알았는데 쿠폰 할인가였다. (소비자가는 정보 없음)
기획전 할인의 경우 소비자가와 판매가가 동시에 표기되기도 하지만 보통 쿠폰이나 적립금 사용은 결제금액에 정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판매가가 변경되는 것의 문제는 앞서 언급한대로 할인가가 아닌 소비자가와 판매가처럼 인식되기 때문에 쿠폰을 적용했더라도 할인 체감이 덜하다는 단점이 있다. 판매가를 건드리지 않고이를 개선하기 위해 아래 이미지처럼 결제금액 정산 시 상품 할인(소비자가->판매가) 금액과 쿠폰 할인(판매가->할인가) 금액을 따로 명시해주는 방법이 있다.
-->브랜디 서비스 분석 (비즈니스편) 으로 이어짐
'서비스 기획 > 서비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룩지다 서비스 분석 (비즈니스 편) (1) | 2022.10.09 |
---|---|
브랜디 서비스 분석 (비즈니스편) (2) | 2021.02.08 |
무신사 서비스 분석 (3) | 2020.12.08 |
카카오커머스 서비스 분석 (2) | 2020.12.08 |
서비스 분석 프레임워크 (0) | 2020.12.04 |
댓글